뉴욕 : 4월08일, AM 06:05:01 파리 : 4월08일, PM 01:05:01 서울 : 4월08일, PM 08:05:01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뉴욕필진
·Obi Lee's NYHOTPOINT (103)
·강우성의 오!필승코리아 (40)
·김경락의 한반도중립화 (14)
·김기화의 Shall we dance (16)
·김성아의 NY 다이어리 (16)
·김은주의 마음의 편지 (45)
·김치김의 그림이 있는 풍경 (107)
·등촌의 사랑방이야기 (173)
·로창현의 뉴욕 편지 (497)
·마라토너 에반엄마 (5)
·백영현의 아리랑별곡 (26)
·부산갈매기 뉴욕을 날다 (9)
·서영민의 재미있는인류학 (42)
·신기장의 세상사는 이야기 (17)
·신재영의 쓴소리 단소리 (13)
·안치용의 시크릿오브코리아 (38)
·앤드류 임의 뒷골목 뉴욕 (37)
·제이V.배의 코리안데이 (22)
·조성모의 Along the Road (50)
·차주범의 ‘We are America (36)
·최윤희의 미국속의 한국인 (15)
·폴김의 한민족 참역사 (406)
·한동신의 사람이 있었네 (37)
·황길재의 길에서 본 세상 (244)
·훈이네의 미국살이 (115)
·韓泰格의 架橋세상 (96)
김은주의 마음의 편지
김은주는 10세때 어린 동생 "세 마리" 를 데리고 뉴욕땅에 먼저 오신 부모님과 상봉하러 "억지로" 이민을 왔다. 수원 꼬마 대장부가 이태리계/독일계 이민자가 많이 사는 이국땅에서 성장해 초/중/대에서 20년 동안 교직생활을 했다. 늘 개혁하고, 창작하고, 발전하고, 실천적인 삶을 추구하며 편지를 통해 생의 활력을 얻는다.
총 게시물 45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내가 Skip 이라고 부르는 교수

글쓴이 : 김은주 날짜 : 2012-05-02 (수) 06:14:40

은주에게,

인생은 고달픈 것이다. 인생은 幻想(환상)이다. 인생은 행복하다. 인생은 비극이다. 많은 철학자, 종교학자들이 인생의 참 뜻을 가지고 책도 쓰고 강의도 하고 말로도 하고 하지? 결국은 자신의 인생관이 생기는 것도 경험, 영향 그리고 그냥 어떻게 살다 보니 어떠한 가치관과 인생관이 생기는 법인 것 같다.

내 학생들은 참으로 어려운 環境(환경)속에서 살고 있다. 그리고 그 어려움을 학교로 가지고 온다. 그 작은 심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 하고 그 작은 몸짓으로 참혹한 인생의 curse 를 맛 보아야 한다. 내 학생들은 참 딱하면서...민들레처럼 굳건히..자신의 자존심과 자부심을 버리지 않고 이 험한 인생길을 걸어갈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

교사의 의무는 그냥 출퇴근 하면서 자기가 가르치고 하고픈 것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이 학생들이 인생길을 걸어가는데 잘 인도 해 주어야 한다.

최근에 난 또 아주 특별한 인연을 만들었다. 채널13 교육방송국에서 매년 교육 박람회를 주최하고 있다. 어떻게 선택이 되어 그 교육박람회 (Celebr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의 Advisory Board Member 가 되었다. 나에겐 많은 특권이 주어주고...제일 큰 특권은 세계의 거인들을 아주 가깝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온다는 것이다.

 

사진에 나오는 분은 Harvard University 의 Professor Henry Luis Gates 다. 이 분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교수이다. 온 흑인들의 명성을 높이는 분이다. 우리 학생들은 이런 분을 자주 만나야 하고 또 자주 뵈어야 한다. 이 분의 연구가 Thirteen (PBS) 방송에 나온다.

나는 이 교수님과 특별한 因緣(인연)을 맺었다. 한국인처럼 흑인들은 존칭을 써 가면서 상대를 대한다. 예를 들자면, 한국식과 꼭 같이...늘 "교수님, Mr. Ms..." 그런 호칭에 매우 민감한 사람들이 남쪽에서 온 미국 흑인들이고 Africa 에서 온 흑인들이다. 함부로 이름을 부르면 실례다.

그런데...난 이 유명한 교수님의 "nickname(별명)"을 부를 수 있게 됐다. 난 이 교수님을 ‘Skip’ 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하셨다.

 

그 비결은 이 교수님이 형제처럼 생각하시는 또 다른 학자, 종교학자, Prof. Cornel West 이름을 ‘팔아먹은’ 덕분이다. 나도 사회학을 공부했고 또 사회학속에 종교를 공부하면서 Prof. Cornel West 를 많이 접촉했고 그의 책도 많이 읽었고 그 사람의 고통을 共感(공감)했다.

예를 들어보자. 유명하고 위대한 학자, Prof. Cornel West (Harvard University, Princeton University 에서 가르침)가 뉴욕에 오면 자주 찾는 식당이 있다. 흑인들의 전형적인 음식, soul food 를 serve 하는 Sweet Waters 라는 식당에 가기 위해 taxi 를 잡으려고 서 있는다. 10분 20분 30분 서 있는게 아니라 1시간 2시간 서 있는다.

아무리 신사처럼 양복을 입고 길거리에 서서 taxi 를 잡으려고 해도 피부색깔때문에 taxi 를 잡을 수 없기때문이다. 결국 bus 나 전철을 타고 고향의 맛을 내는 Sweet Waters 라는 식당으로 지친 몸을 끌고 간다.

이 분이나 또 세계적으로 유명한 Prof. Henry Luis Gates (내가 Skip 이라고 부르는) 교수들에게는 奴隸解放(노예해방)이 아직 안 된 셈이다. Gates 교수에게 "난 Cornel West 를 잘 알고 또 그 분이 겪은 고통을 잘 이해해요..." 하는 한 마디에 난 이 유명인사 Prof Gates 를 Skip 이라고 부를 특권을 받았다. 난 진심으로 감격했고, 눈물까지 흘릴뻔 했다.

 


그리고 Boston 에서 온 특수교육교사와도 친해져 서로의 도시 방문을 약속했다. 이 분은 특수교육 선생인데...아이들에 대한 passion, 강한 정의감 (a strong sense of justice) 그리고 인간다운 냄새가 강렬하게 나는 교사였다. 그래서 금방 친해졌다. 그리고 이 사람들로 인해 또 다른 人脈(인맥)을 만들었다.

난 사람이 좋다. 실망을 하면서도 사람의 가능성을 믿는다. 배신을 당하면서도 사람의 정의로움이 그립다. 어처구니 없는 행동을 보고 경험하면서도 사람을 믿는다. 난 사람이 좋다. 한 번 좋아지면 싫어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한 번 싫어진 사람과 다시 좋아지기가 엄청 힘이 든다. (장점인지 단점인지는 모르지만).

그래서 난 될 수 있으면 금방 사람들과 친해지려고 하지 않는다. 왜냐 하면, 내 친구들은 벌써 만들어져 있기에. 나에게는 강력한 사람 network 가 조직돼 있기에 새로운 사람을 만날 필요나, 아니면 또 다른 network 를 만들 필요를 못 느낀다.

하지만 Skip 이나 Boston 에서 온 교사와는 바로 친해졌다. 무엇이 통했다. 그리고 계속 통할 것 같다. 함께 일 하자고 손을 내 밀었다. 나도 이들과 함께 일하고 싶어졌다.

 


그리고 난 old friends 와 new friends 를 한 자리에 모아놓고..내가 이 세상에 모든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처럼 난 very proud 했고 또 풍부한 인간의 부자가 된 느낌으로 행복했다. 이 행복은 돈으로 절대로 살 수 없는 행복...그리고 아무리 artificially (인위적으로) 만드려고 해도 안 되는 authentic (진짜) 행복 및 인간다운 인맥인 것 같다.

난 학교가 있는 Harlem 가를 밤에 누비고 다녀고 하나도 겁이 안 난다. 내 가족은 걱정을 한다. 하지만 난 이런 말을 한다. "두려움은 오직 정신상태에 있는 것" 이라고...다시 말하자면 "fear only exists in your mind."

사람이 사람을 무서워하면 어떻게 이 세상에 사나? 사람이 사람을 못 믿으면 그리고 두려움에 뭉쳐서 살면 어떻게 이 세상을 사나? 우리 모두 이 두려움에서 解放(해방)되어야 한다.

그리고 돈 한 푼도 들지 않는 믿음의 삶을 키워나가야 한다. 돈 한 푼 들지 않는 정의와 사랑의 삶을 키워서 육성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먼저 이 삶을 실천해야 한다. 비싸지는 않지만...쉽지는 않다. 하지만 이 세상 사는게 쉬운 수학문제 푸는 것처럼 쉬우면 재미는 하나도 없을 것이기에.

은주가 은주에게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