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
|
|
176 |
91. 來(래): = 一(천: 하늘, 별, 행성) + 丨(곤: 상하로 관통하다. 꿰뚫다) + 人(인: 사람) + 人(인: 사람) + 人(인: 사람) = 來 (우주의 한 별 … |
김태영 | 2022-12-08 |
|
175 |
아방강역고를 중심으로(제4부∼1) II. 본론 1. 朝鮮考(조선고) 정약용은 조선고 첫머리를 이렇게 시작하였다. “朝鮮之名, 起於平壤, 寔本箕子之所都… |
김태영 | 2022-12-08 |
|
174 |
90. 船(선): = 舟(주: 배) + 八(팔: 8, 다수) + 口(구: 입) = 船 (많은 사람이 탈 수 있는 배, 선박) <자전상의 정의>: 舟+x(音). ‘x… |
김태영 | 2022-11-29 |
|
173 |
– 아방강역고를 중심으로(제3부-1) I. 서론실학(實學)이란 “쓸모있는 학문 혹은 진실한 학문이며 반계 유형원(1622-1673)에서 조선 실학이 탄생… |
실학자 정약용의… | 2022-11-29 |
|
172 |
89. 犬(견): = 一(지: 땅) + 人(인: 사람) + 丶(주: 빛) = 犬 (땅에서 가장 큰 인간만이 알 수 있는 하늘의 밝은 빛을 내는 천랑성天… |
김태영 | 2022-11-28 |
|
171 |
88. 大(대): = 一(지: 땅) + 人(인: 사람) = 大 (사람은 땅에서 가장 크다에서 클대가 됨)<자전상의 정의>: 두 팔, 두 다리를 편안히 … |
김태영 | 2022-11-13 |
|
170 |
87. 季(계): = 禾(화: 벼, 벼이삭) + 子(자: 아들) = 季 (벼이삭 같은 어린 아들의 의미에서 어릴계, 소년계) <자전상의 정의>: 子+禾.… |
김태영 | 2022-10-30 |
|
169 |
86. 强(강): = 弓(궁: 활) + 厶(모: 아무개) + 虫(충: 벌레) = 强 (비록 작은 미물인 벌레지만 아무개가 활을 쏘아 죽여야 할 만큼 강한 … |
김태영 | 2022-10-19 |
|
168 |
85. 歷(력): = 厂(한: 언덕, 벼랑, 절벽) + 禾(화: 벼) + 禾(화: 벼) + 止(지: 살다, 머무르다) = 歷 (언덕 밑 평지에서 벼농사를 많… |
김 | 2022-10-17 |
|
167 |
84. 多(다): = 夕(석: 저녁) + 夕(석: 저녁) = 多 (많고 많은 밤에 잠자리에서 밤일만을 하여 자식을 많이 생산한다는 뜻에서 많다) <자전… |
김태영 | 2022-10-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