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4월04일, AM 01:37:10 파리 : 4월04일, AM 08:37:10 서울 : 4월04일, PM 03:37:10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미국필진
·권이주의 美대륙을 달린다 (160)
·김동석의 워싱턴워치 (79)
·김수복의 자력갱생 북녘경제 (20)
·김중산의 LA별곡 (71)
·김창옥의 빌라레비 훨훨 (17)
·김태환의 한국현대사비화 (80)
·김현철의 세상보기 (135)
·노정훈의 세상속으로 (31)
·노천희, ‘불멸의 남자 현승효’ (109)
·로빈의 스포테인먼트 (121)
·세등스님의 세상과 등불 (5)
·신필영의 삶의 뜨락에서 (35)
·오인동의 통일 고리-Gori (50)
·장호준의 Awesome Club (152)
·피터 김의 동해탈환 이야기 (52)
·한동춘의 퍽 환한 세상 (15)
·한종우의 시사아메리카 (13)
로빈의 스포테인먼트
소싯적 꿈은 축구선수였지만 정작 배구선수를 하고 만, 당근 기자노릇은 축구였으되 야구 육상 사격 역도 배드민턴 농구를 섭렵하다 방송영화계를 출입하며 연예와 씨름한 방랑의 취재인생. 전직 스포츠신문 기자가 전하는 스포츠와 연예하기.
총 게시물 121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브라질 사람들은 왜 이름이 별나게 길까”

글쓴이 : 로빈 날짜 : 2014-02-04 (화) 11:40:39







에디손 아란테스 도 나시멘토. ‘축구황제’ 펠레의 본명(本名)이다. 펠레에 열광했던 70년대 한 만화잡지에서 우연히 그의 본명을 보면서 참 이름도 별나다라는 생각을 했다.





그의 본명이 프로투갈어로 ‘에지송 아란치스 두 나시멘투(Edison Arantes do Nascimento)라고 불린다는 것은 최근에 안 일이다. 그후 브라질의 축구스타를 보면 본명을 확인하는 버릇이 생겼다.


 


 

  
www.en.wikipedia.org


 



‘하얀 펠레’로 유명한 백인축구스타 지코의 본명도 펠레의 경우처럼 생뚱맞다. 아르투르 안투니스 코이브라(Arthur Antunes Coimbra)가 진짜 이름이다. 그에 비하면 호나우두는 좀 낫다. 자신의 퍼스트네임(Ronaldo Luís Nazário de Lima)을 그대로 썼으니 말이다.  








 

며칠전 뉴욕타임스가 흥미로운 기사를 실었다. 브라질 사람들의 이름이 왜 길고 별난지 그 배경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담은 것이다.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브루노는 사춘기가 됐을 때, 도저히 참을 수 없었다. 부모에게 그는 법원에 가줄 것을 요청했다. 이름때문이었다.









‘워날렐리비스톤 갈란 말론 브랜던 브루노 파울리넬리 멜 올리베이라 페레이라.(Wonarllevyston Garlan Marllon Branddon Bruno Paullynelly Mell Oliveira Pereira)’

놀랍게도 그의 이름은 아홉 단어에 알파벳 철자만 70자에 달한다. 친구들은 이름 중간에 있는 ‘말론 브랜돈’때문에 그를 말론 브랜도로 부르며 놀렸다. 그는 “난 말론 브랜도와 닮은게 하나도 없다”고 하소연했다. 결국 그의 부모는 법원에 개명(改名) 신청을 했다.










그의 새 이름은 ‘브루노 워날리비스턴 올리베이라 페레이라(Bruno Wonarleviston Oliveira Pereira)’다. 네 단어에 33철자의 제법 긴 이름이지만 원래 이름에 비하면 날아갈듯 가벼운 이름이다. 올해 대학생이 된 올리베이라 페레이라(19)는 “난 정말 그렇게 복잡하고 긴 이름으로 세상을 살고 싶지 않았다”고 말한다.









샤샤로 불리는 31세의 배관공은 원래 이름이 ‘샤링통글래비옹비쉬크나바레 도스 안조스 멘도샤(Charlingtonglaevionbeecheknavare dos Anjos Mendonça)’다. 그런가하면 ‘마이크 타이슨 슈워제네거 프라델라(Mike Tyson Schwarzenegger Pradella)’라는 이름도 있다. 두말할 것 없이 왕년의 핵주먹 마이크 타이슨과 할리우드스타 출신 정치인 슈워제네거를 차용한 것이다.









일부 학자들은 브라질의 작명(作名) 관행(慣行)이 잘사는 나라에 대한 동경이나 유명한 외국인들의 이름을 선호하는 풍조(風潮)에서 기인한다고 말한다. 미국 대통령을 본 딴 이름들은 ‘아브라웅 린컨 소사 산토나(Abraão Lynconn Sousa Santana)’나 ‘프란시스코 린든 존슨 메네제스 다 루즈 주니어(Francisco Lindon Johnson Menezes da Luz Junior)’같은 것이 있다. 그런가하면 중국의 마오쩌뚱이 연상되는 ’마오 처 퉁 리마 드 모우라(Mao Tse Tung Lima de Moura)’도 있다.









또다른 학자들은 오랜 세월 이민과 정복, 노예의 역사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아프리카와 유럽 아시아 문화가 뒤섞이면서 정체성의 융합이 일어났기때문이라고 분석한다. 보사노바음악부터 오지의 시골음악에 이르기까지 통통 튀는 멜로디가 느껴지는 이름도 있다. ‘셜록 홈즈 다 실바’는 브라질 발음으로 ‘샤레 롸키 호울미즈(Sherlock Holmes da Silva)’로 독특한 전화벨처럼 들린다.









브라질 이름들을 연구하는 심리학자 일레인 라비노비치는 “사람들에게 왜 그런 이름을 선택했는지 물어보면 소리가 듣기좋기 때문이라는 답변을 많이 듣는다”고 말했다.









독일과 아이슬랜드 같은 나라에선 작명할 수 있는 이름들을 규제한다. 브라질을 과거 지배한 포르투갈도 전통을 제한된 이름 리스트가 있다. 가령 ‘넵튠’은 안되지만 ‘네오텔레스’는 가능하다.









그러나 브라질은 작명이 자유로운 나라중 하나이다. 베네수엘라도 스탈린스. 닉슨스, 히로시마스, 투탄카멘스, 타지마할스라는 이름들이 있다. 아프리카 짐바브웨에선 갓노우즈(God Knows), 러브모아즈(Love Mores), 런모아즈(Learn Mores) 등이 있다.









브라질은 일단 이름을 지으면 바꾸는게 쉽지 않다. 우스꽝스럽거나 공격적이라는 판사의 승인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브라질의 관료(官僚)문화(文化)로 인해 변호사가 필요하고 오랜 시간과 수고가 든다.









거슨 마틴스 변호사는 “법원이 개명신청을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면서 “브라질의 많은 이름들이 ‘알파벳 수프’나 다름없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많은 브라질 사람들은 발음하기도 힘든 별난 이름들을 즐기고 있다. 올해 34세인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쿠토(Creedence Clearwater Couto)’의 이름은 60년대 인기있는 미국의 록밴드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을 딴 것이다.









그는 “지금 브라질 사람들은 그들이 누군지도 모르고 90%는 제대로 발음도 못한다. 하지만 크리던스 클리어워터는 1969년 히트 싱글 ‘배드 문 라이징’의 주인공이다. 내가 이런 예술천재들을 딴 이름을 갖고 있다는게 자랑스럽다”고 말한다.











한편 엘리트층은 페드로와 가브리엘, 줄리아, 카롤라이나 등 전통적인 포르투갈식 이름을 고수하는 경향(傾向)이 있다.









최근 한 브라질의 TV방송은 일곱자녀의 이름을 엘비스 프레슬리를 추모하는 사람을 소개했다. 그의 아이들은 첫째 엘비스를 필두로 엘비스네이, 엘비스마라, 엘비슬레이, 엘비센티나, 엘비슬레인, 엘비슬레니다.









상파울루에 사는 멕시코의 소설가 후안 파블로 빌라로보스는 “처음 만난 브라질 사람들의 이름을 농담으로 생각해선 안된다”며 “브라질 사람들이 말하는 이름이 무엇이든 그것은 진짜”라고 말했다.









어떤 이들은 작명이 너무 기상천외(奇想天外)해서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35년간 공증사무소에서 일한 오스니 마차도 네비스(73) 변호사는 지금까지 일하면서 접한 황당한 이름 8천개를 모아 책을 냈다.









네비스 변호사는 “브라질 부모들은 종종 자녀들이 어떤 트라우마를 겪는지 모르고 있다”며 ‘심장마비’라는 뜻을 지닌 ‘콜랍소 카르디아코’라는 이름을 소개했다.









아코디온 연주자인 조세 미구엘 포르피리오는 자신의 세 자녀 이름을 제록스와 오텐시카다(공증하다), 포토코피아(복사)로 지었다.









브라질의 명문 프로축구단 코린티안스 유소년팀에서 최근 들어간 열두살 소년도 화제가 되었다. 그의 이름 때문이다. ‘페트로스위코니코빅 완데커코프 다 실바 산토스(Petroswickonicovick Wandeckerkof da Silva Santos)’는 퍼스트네임이 19자, 미들네임이 12자나 된다.















산토스는 자기 이름을 제대로 발음하려면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축구 코치인 그의 아버지 조세 이바닐도 도스 산토스(José Ivanildo dos Santos)는 왜 아들 이름을 그렇게 지었느냐는 질문을 계속 받는다.











그는 “공증사무소의 여직원이 이름이 너무하다고 미쳤냐고 했지만 아들 이름 짓는건 내 마마음 아니냐”고 말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수정 삭제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