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시장의 가치를 되돌아보는 한국미술사 강연시리즈가 뉴욕에서 열려 관심이 일고 있다.
뉴욕한국문화원(원장 이우성)이 알재단(회장 이숙녀)과 공동주최하는 이번 강연은 11월 14일과 28일, 12월 18일 등 3차례에 걸쳐 한국미술전문가 3인이 나와 한국미술과 작품들을 조명하는 흥미로운 시간을 갖는다.
한국 미술시장은 세계문화의 중심 뉴욕에서 해마다 많은 작가들이 활동을 하면서 국제적인 입지가 확장(擴張)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미술의 역사와 가치는 중국 일본에 눌려 여전히 저평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미술사강연은 한국 미술의 역사와 가치를 되돌아보고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미술이 발전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자는 취지로 기획됐다.
뉴욕문화원의 이우성 원장은 “최근 크리스티 아시안 주간에 열린 한국미술품 경매에서 ‘청화백자 용문항아리’ 및 박수근 작가의 작품이 낙찰가 중 최고가를 기록하며 세계미술시장의 주목을 받았다”며 “이를 계기로 그동안 일본, 중국 미술품에 비해 저평가 되어오던 한국미술품들의 역사와 가치를 현지에 알리고자 마련했다”고 말했다.
14일 오후 6시에 맨해튼 갤러리코리아에서 열리는 첫 강연은 ‘20세기 초 동아시아 및 한국 미술품 수집에 나타난 미학적 태도에 관하여’를 주제로 변경희 교수가 나선다.
프랫인스티튜트와 파슨스 등 패션 디자인 학교에서 활발하게 강의 활동을 하고 있는 변경희 교수는 미국과 유럽의 미술수집가들이 중국, 일본, 한국의 미술품에 관심을 보이게 된 경위와 배경, 미학적 태도를 고찰한다.
프리어 갤러리를 건립한 찰스 랑 프리어(1854-1919), 어니스트 프란시스코 페놀로사(1853-1908), 윌리엄 스터지스 비겔로우(1850-1926) 등의 미술품 수집을 통해서 동아시아 미술품이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의 지식인 계층, 상류사회에서 어떻게 감상되고 이해됐는지, 한국 미술품들은 어떻게 소개됐는지 설명한다.
또한 미국과 일본 출신의 한국 미술 수집가들의 활동을 비교하고, 야나기 무네요시의 한국민예품 후원에 관해서도 살펴보는 시간을 가진다.


11월 28일 예정된 두 번째 강연시리즈는 ‘고려시대(918-1392) 와 조선시대(1392-1910) 의 도자기 예술’을 주제로 강금자 강콜렉션 대표가 맡는다.
한국 고미술 전문가인 강금자 대표는 고려시대(918-1392)에 귀족문화와 불교사상의 발달에 힘입어 많이 생산된 청자, 조선시대(1392-1910)에 왕실을 위한 광주 분원 가마에서 제작되었던 백자와 일반 백성을 위해 제작된 분청사기를 중심으로 한국 도자기 예술의 역사와 한국미술품 딜러로 32년간 국제 미술 시장에서 겪은 해프닝과 에피소드를 나눌 예정이다.
12월 18일 마지막 강연시리즈는 ‘한류의 두 뿌리: 한국의 영성과 미학’을 주제로 유니온신학교의 정현경 교수가 진행한다.
한류의 물결이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아메리카 대륙으로 펼쳐지고 있는 이 시대에 한류의 무엇이 세계인의 마음을 움직이는지 살펴보고 한류의 뿌리인 한국인의 집단 무의식 속의 영성과 미학을 들여다보며 한류의 힘에 대해 함께 고찰, 대화하는 시간으로 꾸며진다.
모든 강의는 영어로 진행되며, 참가 신청은 뉴욕한국문화원 홈페이지 www.koreanculture.org 에서 무료로 할 수 있다.
뉴욕=민지영특파원 jymin@newsroh.com
<꼬리뉴스>
변경희 강금자 정현경교수 3인 전문가
이번 한국미술사강연시리즈를 맡은 3인의 전문가를 소개한다.
변경희 교수는 프랫 인스티튜트 미술사학과의 방문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패션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와 파슨스 디자인 스쿨에서도 강의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대학원을 수료한 후 뉴욕대학교의 인스티튜트 오브 파인 아츠에서 중세미술 연구로 2004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14세기 제작된 생드니 수도원의 의례용 필사본 삽화연구가 주제였으며 논문의 일부는 <Viator>란 학회지에 2008년 출판되었다. 현재 쟝 푸셀이라는 14세기 프랑스 삽화가에 대한 연구논문을 모아서<Jean Pucelle: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in Manuscript Painting(Turnhout: Brepols, in printing)>이란 책을 제작 중이며 2012년 말에 출간될 예정이다.
아시아 근현대 미술 연구도 진행하여 아시아 미술 수집가 및 수집역사에 대한 연구 논문이 2011년 <현대미술학회>에 영어로 발표되었고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출간되는 <미술사와 시각문화>에 몇 차례 논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현재는 중세 수도승 및 수녀들의 초상화(肖像畵)에 대한 연구와 아시아 미술 수집의 역사에 대한 단행본 저술을 진행하고 있다.
강금자 대표는 1981년 한국 미술품 전문 갤러리 강콜렉션을 세웠다. 한국 고미술품의 보고인 강 콜렉션이 가지고 있는 많은 미술품들은 미국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하버드대학교의 사클러 뮤지엄, 영국의 대영박물관, 독일의 베를린 박물관 등을 비롯한 세계 전역의 주요 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큐레이터들 사이에서 한국 고미술 전문가로 알려지게 된 강 대표는 32년간 한국 미술을 전 세계에 알리고 보급하는데 힘쓰고 있다. 서울대 2년 과정을 수료하고, 미국으로 건너와 Queens College에서 서양 미술사로 학사 학위, Columbia University의 Graduate School of Arts and Science에서 동양미술사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또한 University of Maryland에서 한국 문화사 강의하기도 했다.
정현경 교수는 한국 장로교회의 평신도 신학자이자 뉴욕 유니온 신학교의 에큐메니칼 신학의 부교수이다. 1979년에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했고, 1981년에 동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 1984년에는 클레아몬트 신학교와 보스톤에 있는 여자신학센터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1989년에 뉴욕에 있는 유니온 신학교(Uni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