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 4월02일, PM 08:24:43 파리 : 4월03일, AM 03:24:43 서울 : 4월03일, AM 10:24:43   시작페이지로 설정 즐겨찾기 추가하기
 
 
 
꼬리뉴스 l 뉴욕필진 l 미국필진 l 한국필진 l 세계필진 l 사진필진 l Kor-Eng    
 
뉴욕필진
·Obi Lee's NYHOTPOINT (103)
·강우성의 오!필승코리아 (40)
·김경락의 한반도중립화 (14)
·김기화의 Shall we dance (16)
·김성아의 NY 다이어리 (16)
·김은주의 마음의 편지 (45)
·김치김의 그림이 있는 풍경 (107)
·등촌의 사랑방이야기 (173)
·로창현의 뉴욕 편지 (496)
·마라토너 에반엄마 (5)
·백영현의 아리랑별곡 (26)
·부산갈매기 뉴욕을 날다 (9)
·서영민의 재미있는인류학 (42)
·신기장의 세상사는 이야기 (17)
·신재영의 쓴소리 단소리 (13)
·안치용의 시크릿오브코리아 (38)
·앤드류 임의 뒷골목 뉴욕 (37)
·제이V.배의 코리안데이 (22)
·조성모의 Along the Road (50)
·차주범의 ‘We are America (36)
·최윤희의 미국속의 한국인 (15)
·폴김의 한민족 참역사 (406)
·한동신의 사람이 있었네 (37)
·황길재의 길에서 본 세상 (244)
·훈이네의 미국살이 (115)
·韓泰格의 架橋세상 (96)
韓泰格의 架橋세상
독일 프랑크푸르트 은행주재원 생활 4 년, New York 에서 20年 동안 生活하면서 뉴욕 최대일간지인 ‘New York Daily News’와 美 최대은행 ‘Bank of America’ 에서 근무했습니다. 'Bridge Enterprises'라는 사업체를 통해 韓國과 美國의 架橋를 자임한 이민1世입니다. 유럽과 美洲 양 대륙에 살아 본 사람으로써, 100개 이상의 종족이 어울려 살고 있는 美國과 뉴욕, 이민가정 子女들이 겪는 이야기를 전해 드리겠습니다. 逢南 韓 泰格(www.TedHan.com)
총 게시물 96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Inca도, Conquistador도 犯하지 못했던 곳…

물, 물, 물……
글쓴이 : 韓 泰格… 날짜 : 2016-07-11 (월) 11:15:59

   

볼리비아(Bolivia)라고 하면 서서히 기억에서 사라지고는 있지만, 이명박 전임(前任) 대통령 집권시절 만사형통(萬事兄通)의 주인공인 이대통령 친형 이상득(李相得 1935년생) 6() 국회의원이 리튬(Lithium) 자원개발을 위해 노구(老軀)를 무릅쓰고 30시간 비행 4,000미터의 고원지대(高原地帶)를 여섯차례 현지답사(踏査)를 위해 다녀왔던 저 지구 반대편, 바다없는 한반도 크기의 다섯 배()되는 남미(南美) 내륙(內陸)국가다.

       

바로 그 나라에 재앙(災殃)이 들이닥쳤다. 기후변화로 볼리비아에서 두 번째로 큰, 서울넓이의 다섯 배 가까운 크기의 Lake Poopo2016116, 물이 줄어들기 시작한지 3년 만에 호수가 완전히 말라 증발(蒸發)되어 버렸다.

 

다음은 뉴욕타임즈 78() 자로 사진과 함께 두 면()이상의 지면을 할애한 기사를 요약한 것이다.

 

 

250px-Poopo_1991.jpg

 

호수가 사라지면서 물고기도 사라졌다. 물고기를 잡아먹던 새들도 사라져 버렸다. 호수에서 물고기를 잡으며 수천년간, ()를 이어 살아오던 Uru-Murato 원주민 마을에도 인적(人跡)이 사라졌다. 전쟁에 의한 피난민避難民)이 아니라, 기후변화에 의해 삶의 터전이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다. 안데스 산맥지역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El Nino 현상은 인디오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Uru-Murato 종족의 생존(生存)까지 위협하고 있다. 그들은 800년 전 Inca제국의 위협도, 500년 전 스뻬인제국의 Conquistador(정복자) 들의 철제무기(鐵製武器) 앞에서도 살아남은 종족이었다. 1985년 이래 매 십년마다 섭씨 0.23 ()씩 상승(上昇), 30년 만에 수심(水深)3 미터나 되었던 호수가 지도에서 사라져 버렸다. 주민들도 언젠가는 사라지리라 예견은 하고 살아왔지만, 너무나 빨리 닥쳐온 재앙에 경악하고 있다. 물론 인류의 과오(過誤)로 호수의 수위가 낮아지고 있거나 말라붙어가고 있는 곳은 이 Poopo 호수가 처음은 아니다. California Mono 호수나 Salton Sea 그리고 Canada의 여러 호반들에서도 물은 줄어들고 있지만, Lake Poopo 호수처럼 이 지역 거주 종족과는 아무 관계도 상관도 없는, 다른 곳, 타지(他地) 인간들의 탐욕(耽慾)으로 인해, 자연 속에서 자연과 함께 대대로 조용히 삶을 영위하여 왔던 오지(奧地)사람들, 삶의 터전을 잃고 있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

      

 

NYT 2016 7 8 - Copy.jpg

 

이제 이들에게는 자식들에게 물고기를 잡을 방법을 알려줄 필요가 없다. 물고기가 서식(棲息)할 호수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안데스 산맥속, 이곳의 자연재앙은 지구 저편 소위 선진공업(工業)국가들의 소행(所行)이다. Uru-Murato원주민들은 앉아서 벼락맞은 격이다. 이웃을 잘못 둔 탓으로 치부(置簿)하기에는 현실이 너무나 잔혹(殘酷)하다.

 

북반부 선진국들이여, 과연 공장(工場)만이, 공업화(工業化)만이 해답(解答)입니까? 우리는 살 곳이 없어졌습니다, 먹을 것이 날아갔습니다!

 

 

NYT 2016 7 8  2 - Copy.jpg


 

www.nytimes.com/world

 

다음은 볼리비아관련 칼럼이었습니다. 그들이 풍부한 자원(資源)을 보유(保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최빈국(最貧國)의 범주를 벋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유를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뉴욕일보 풍향계 칼럼1. 남미여행 (Paraguayan War) 2012. 8. 10. , 칼럼 2: 남미여행 태평양전쟁(Guerra del Pacifico) 2012. 8. 23. , 칼럼 3: 남미학습 Bolivia, Potosi 2012. 8. 26. , 칼럼 4 : Sins(宗敎的, 道德的 罪惡)에 대한 謝罪 副題: Francis敎皇 南美 3個 貧國 訪問契機2015.7.20. , 칼럼 5: 보물선(寶物船)발견-童話보다 더 童話같은 이야기 副題: 그러나, 뒤안길에는 아주 아픈 歷史가 숨어있었다! 2015.12.7.

 

韓 泰格(www.TedHan.com)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QR CODE

뉴스로를말한다 l 뉴스로 주인되기 l뉴스로회원약관  l광고문의 기사제보 : newsroh@gmail.com l제호 : 뉴스로 l발행인 : 盧昌賢 l편집인 : 盧昌賢
청소년보호책임자 : 閔丙玉 l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기아50133 l창간일 : 2010.06.05. l미국 : 75 Quaker Ave Cornwall NY 12518 / 전화 : 1-914-374-9793
뉴스로 세상의 창을 연다! 칼럼을 읽으면 뉴스가 보인다!
Copyright(c) 2010 www.newsroh.com All rights reserved.